LCA란 무엇인가?

LCA는 환경관리 기법으로,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환경 영향을 식별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평가는 제품의 전 생애주기를 포함하며, 원자재 획득 → 생산 → 운송 → 사용 → 폐기 단계를 모두 다룹니다. LCA의 결과는 제품 환경 성명서(EPD) 작성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됩니다.

제품 생애주기 평가의 주요 목표

  • 환경 영향(예: 탄소 발자국) 식별 및 최소화
  • 제품 설계 및 생산 공정의 최적화
  • 대체 제품·소재 간 비교 및 평가
  • ISO, EPD, CSRD, ESRS 등 인증 및 규제 요건 충족
  • 순환경제(CE) 전환 지원

LCA 수행 절차

  1. 목표 및 범위 정의: 시스템 경계, 기능 단위 및 분석 목적 설정
  2. 생애주기 인벤토리(LCI): 에너지, 원자재, 배출물, 폐기물 관련 데이터 수집
  3. 생애주기 영향 평가(LCIA): 환경 영향 분류 및 특성화 (예: 기후변화, 부영양화, 산성화 등)
  4. 결과 해석: 핵심 영향 요인 도출 및 개선 방안 제시

환경 영향 범주

  •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 자연자원 고갈
  • 대기·수질·토양 오염
  • 생물다양성 감소 및 부영양화
  • 산성화 현상
  • 수자원 사용
  • 폐기물 발생량 및 유형

국제 표준 및 규격

LCA는 다음과 같은 국제 표준에 따라 수행됩니다:

  • ISO 14040: 생애주기 평가 – 원칙 및 구조
  • ISO 14044: 생애주기 평가 – 요구사항 및 지침
  • ISO 14025: 환경 라벨 및 선언 – 유형 III 환경 성명서
  • ISO 14067: 제품의 탄소 발자국 산정
  • EN 15804: 건축자재 환경 성명서 기준
  • GHG Protocol – Product Life Cycle Accounting Standard: 기후정책 연계 기준

이러한 표준은 평가 결과의 투명성, 비교 가능성 및 공신력을 확보하여 인증 절차와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LCA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및 모델

LCA는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됩니다:

  • 제조업체 제공 데이터(예: EPD)
  • 외부 데이터베이스 (예: Ecoinvent)
  • 공공 데이터 (예: Eurostat, EEA)
  • 학술 문헌
  • 산업별 및 조직 내부 데이터

적용 모델에는 배출 모델, 에너지 모델, 물질수지 모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실제 공정 및 기술의 환경적 영향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LCA의 역할 – ESG 및 EU 정책 관점에서

LCA는 ESG 전략, 유럽 그린딜 및 EU 택소노미 실행을 지원하며, 기업이 기후 관련 규제를 준수하도록 돕습니다. LCA 결과는 제품 환경 발자국(PEF, 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 산정의 기반이 되며, 이는 2027년부터 여러 산업에서 의무화될 예정인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의 핵심 구성요소로 사용됩니다. 또한 LCA 수행 기업은 유럽 혁신경제 펀드(FENG) 등 친환경 금융 프로그램을 통해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업별 LCA 적용 사례

  • 건설: LEED, BREEAM 등 친환경 건축 인증 지원
  • 제조: 생산 공정 최적화 및 배출 감축
  • 에너지: 연료 효율성 및 기술 성과 분석
  • 운송: 교통수단의 생애주기 영향 평가
  • 농업: 재배 방식의 환경 영향 분석
  • FMCG: 포장재 및 소비재의 생애주기 평가

GCB의 역할 – LCA 전문 기관으로서

GCB는 ESG 분야의 전문 파트너로서, 제품 생애주기 평가(LCA)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GCB는 ISO 표준 준수, 데이터 신뢰성, EPD 문서화, 환경 개선 권고안 마련을 포함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독립적인 외부 검증기관으로서 객관적 분석과 결과 신뢰성을 보장하며, 고객의 전략적 환경 의사결정에 전문가로 참여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환경 영향 저감, 투명성 제고,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LCA 분석을 통한 주요 성과

  • 환경 영향의 종합적 평가
  • 개선 및 최적화 영역 식별
  •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 지원
  • 규제 요건 준수
  • 친환경 인증 및 입찰 경쟁력 확보
  • 시장 내 브랜드 가치 및 신뢰도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