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RS란 무엇인가?

ESRS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는 ESG와 관련된 기업의 영향(Impact), 위험(Risk), 기회(Opportunity)
일관성 있게 보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세 기준 및 지표 세트입니다.

보고 항목에는 온실가스 배출(GHG Emissions), 자원 사용(Resource Use),
인권(Human Rights), 노동조건(Working Conditions),
윤리(Ethics), 지배구조(Governance) 등이 포함되며,
CSRD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됩니다.

ESRS와 CSRD의 관계

CSRD는 “누가 무엇을 보고할 것인가(Who & What)”를 정의하고,
ESRS는 “어떻게 보고할 것인가(How)”를 규정합니다 — 즉, 공시 범위, 지표, 형식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ESRS의 목표는 보고 언어를 표준화하고, 정보의 독립적 검증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ESRS의 핵심 원칙

  • 이중중대성(Double Materiality) — 기업이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ESG 요인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보고.
  • 완전성 및 비교가능성(Completeness & Comparability) — 표준화된 지표 및 방법론 적용.
  • 검증가능성(Verifiability) — 모든 데이터는 문서로 입증되고 외부 검증이 가능해야 함.
  • 가치사슬(Value Chain) — 직접적 활동뿐 아니라 공급망 전반의 영향을 포함.
  • 미래지향성(Future Orientation) — 목표, 전략, 감축계획 및 진행상황 보고.
  • 재무통합(Financial Integration) — ESG 정보가 재무보고 및 기업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

ESRS 보고서 구조

  1. 서문(Introduction) – 보고 범위, 한계, 방법론, 보고 단위 명시.
  2. 중대성(Materiality) – 이중중대성 분석 결과 및 주제맵 제시.
  3. 가치사슬 및 이해관계자(Value Chain & Stakeholders) – 비즈니스 모델 및 이해관계자 대화 결과 설명.
  4. 공시(E/S/G Disclosures) – 정책, 활동, 목표, 지표 및 성과 (예: E1 – 온실가스 배출).
  5. 위험과 기회(Risks & Opportunities) – 식별, 평가 및 관리 프로세스.
  6. 데이터 품질관리(Data Quality Control) – 시스템, 절차, 감사흔적, 외부 검증 등.

ESRS 보고서 작성 절차 (단계별)

  1. 사전진단(Pre-Audit) – 내부 프로세스, 데이터수집체계, 시스템을 검토하여 격차(Gap) 분석 수행.
  2. 이중중대성 분석(Double Materiality Analysis) – 주요 주제 및 보고지표 선정.
  3. 이해관계자 대화(Stakeholder Engagement) – 시장 및 이해관계자 의견을 분석에 반영.
  4. 환경 데이터 수집(Environmental Data) – GHG Protocol(Scope 1–3), LCA/EPD, 자원 사용 데이터 확보.
  5. 관리 및 통제(Governance & KPI) – 정책, 성과지표(KPI), 관리시스템(예: ISO 14001) 구축.
  6. 보고서 작성(Reporting) – ESRS 요구사항에 맞춘 재무 및 비재무 정보 통합.
  7. 독립 검증(External Assurance) – 외부 기관의 데이터 신뢰성 및 적합성 평가.

가치사슬, 적합성 및 EUDR

ESRS는 기업이 전체 가치사슬(Value Chain)을 고려하도록 요구합니다.
특히 임업, 농업, 원자재 산업 등에서는 EU 산림벌채금지규제(EUDR)와 같은
디폴리테이션 및 실사(Due Diligence) 정책과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ESRS 보고에서 GCB의 역할

GCB는 독립적인 보증기관(Assurance Provider)으로서,
기업의 ESG 보고서가 ESRS 요건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고 데이터를 검증합니다.
자문 서비스가 아닌 객관적 검증(Objective Verification)을 통해
보고 데이터, 프로세스, 감사흔적의 신뢰성을 확인합니다.

비준수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 감사 리포트에 대한 제재 또는 부정적 의견(Sanctions or Audit Reservations) 발생.
  • CSRD/ESRS 데이터를 요구하는 거래처와의 계약 상실.
  • 정보 신뢰성 저하로 인한 평판 리스크(Reputational Risk)그린워싱(Greenwashing) 위험.
  • 검증되지 않은 분산 데이터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의사결정 오류.